본문 바로가기

플랜테리어10

추운계절의 대표적인 꽃 중 하나, 시클라멘(cyclamen) 오늘은 시클라멘의 특징부터 꽃말 그리고 키우실 때 관리하는 방법에 대해 간단히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시클라멘의 생김새와 특징 시클라멘은 앵초과에 속하는 다년생 구근식물입니다. 유럽 지중해 부근이 원산지로, 마치 나비가 한데 모여있는 듯이 화려한 외형을 가지고 있는 시클라멘은 추운 계절에 볼 수 있는 대표적인 겨울꽃 중 하나입니다. 위에서 이야기한 것처럼 구근식물인 시클라멘도 다른 구근식물들 처럼 더운 여름에는 휴면에 들어가기 때문에 휴면관리를 필수적으로 해주셔야 되는 것이 가장 중요합니다. 구근류 중에서도 납작한 원형의 덩이줄기의 모습을 볼 수 있고, 구근의 중심부분에서 잎이 나오기 시작하여, 하트모양을 하고 있는 꽃잎을 보실 수 있습니다. 시클라멘의 공기정화능력? 아름다운 외형을 자랑하는 시클라멘은 .. 2023. 3. 22.
우주에서 처음으로 핀 꽃, 백일홍(zinnia) 오늘은 백일동안 피어있다라는 의미를 가지고 있는 백일홍에 대해 알아보고자 합니다. 백일홍은 국화과에 속하는 한해살이풀로, 멕시코 원산지로 주로 관상용으로 재배됩니다. 야생에서 자라는 백일홍은 자주색에 가까웠지만, 수차례 개량을 통해 밝은 색상을 띄는 개량품종으로 탄생했습니다. 그리고 백일홍은 우주에서 처음으로 핀 꽃입니다. 국제우주정거장에 체류 중인 미국인 우주비행사가 처음으로 우주에서 꽃을 피우는데 성공했는데, 그 꽃이 바로 백일홍입니다. 백일홍의 꽃말 백일홍은 인연이라는 꽃말을 가지고 있는데, 한국의 전래동화 중에 백일홍의 전설이라는 이야기를 보면 왜 인연이라는 꽃말이 붙었는지 알 수 있습니다. 백일홍의 생김새 백일홍은 약 55 ~ 90cm 정도되는 높이이며, 화분용으로 키우기보다는 정원이나 원예용으.. 2023. 3. 9.
양지에서 더욱 예쁘게 자라는 꽃, 데이지(daisy) 오늘은 봄 하면 떠오르는 꽃, 데이지에 대해 알아보고자 합니다. 관상용으로 재배되는 데이지는 유럽 서부지역이 원산지로, 우리가 흔히 접하는 데이지는 개량품종이라고 합니다. 수십 종이 넘는 데이지 중에 통상적으로 불리는 품종은 lawn daisy라고 불리는 잉글리시데이지입니다. 데이지의 유래 이탈리아의 국화인 데이지도 유래가 있는데요. 과실나무의 신 베르다무나스가 숲의 요정 베르티스를 보고 첫눈에 반하여 끈질기게 따라다녔는데 이미 베르티스는 약혼자가 있었습니다. 베르티스는 두 사람 중에 갈등하다가 그 사랑을 가슴에 안은 채 호수가 근처에서 꽃으로 변했다고 하는데, 베르테스가 변한 꽃의 이름이 데이지라고 합니다. 데이지 이름의 어원은 고대 영어 daegers eage입니다. 현재는 태양이 뜨면 고개를 들고 .. 2023. 3. 8.
나사에서 선정한 공기정화식물 1위, 아레카 야자(areca palm) 오늘은 나사에서 선정한 공기정화식물 1위에 오른 아레카 야자에 대해 알아보고자 합니다. 아레카야자의 공기정화능력 마다가스카가 원산지인 아레카야자는 모든 유해성 화학물질 제거에 뛰어난 모습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본드나 페인트에서 발생하는 포름알데히드와 새집증후군 원인물질 중 하나이며, 1군 발암물질에 해당하는 크실렌(자일렌) 그리고 폭약, 염료, 의약품 등에 사용되는 화학물질인 톨루엔, 자동차 배출가스나 석유화학제품 원료로 사용되는 벤젠 등등 많은 유해물질 제거에 효과적이라고 합니다. 아레카야자는 이러한 유해물질들을 기공을 통해 흡수하고, 흡수한 유해물질을 토양으로 이동시켜 토양의 미생물이 분해를 하여 제거한다고 합니다. 원활한 증산작용을 통해 공기 중으로 많은 수분을 방출하여 실내 습도 유지에도 훌륭하며.. 2023. 3. 7.
포름알데히드 제거에 특효, 아이비(ivy) 오늘은 아이비를 키우면서 주의해야할 점과 꽃말 아이비가 가지고 있는 특징에 대해 간단하게 알아보겠습니다. 원산지가 아시아, 유럽, 북아프리카인 흔히 아이비라 부르는 식물은 송악속(hedera)라고도 불리우며, 두릅나무과의 한 속입니다. 사시사철 푸름을 보여주는 아이비에도 꽃말이 존재하는데, ‘진실한 애정’, ‘행운이 가득한 사랑’이라는 의미를 담고 있습니다. 아이비키우기 및 효과 가격이 저렴한 편에 속하고 병충해에 강한 아이비는 키우기 난이도가 쉬운 편에 속합니다. 번식력이 좋아 수경재배도 가능하고 꺾곶이 번식도 잘 이루어지는 편이며, 성장속도가 빠릅니다. 아이비는 덩굴성 식물로 지지물을 만들어주면 타고 올라가게 되며, 높은 곳에 놓고 지지대를 만들어주면 인테리어적으로도 활용이 가능합니다. 아이비를 키웠.. 2023. 3. 6.
흔하지만 가성비 최고의 공기정화식물, 스킨답서스(scindapsus) 집안에서 키우는 실내식물로 잘 알려진 스킨답서스. 왜 가성비 식물로 이곳저곳에서 찾아볼 수 있는지 간단하게 알아보겠습니다. 스킨답서스라는 이름은 생소할 수 있지만, 어렵지 않게 백화점, 사무실, 공공장소에서 볼 수 있습니다. 장식을 목적으로 이용하지만 엄청난 생명력 덕에 관리를 자주 하지 않아도 키우기가 정말 쉽다는 장점과 실내의 오염물질(벤젠과 포름알데히드)을 제거하는데 효과적이기 때문에 인기가 많은 편에 속합니다. 스킨답서스는 수족관이나 어항에서도 반 수생식물처럼 키울 수 있는데, 스킨답서스가 질산염을 흡수하여 성장의 매체로 사용하기 때문에 수족관에서 기를 경우에도 굉장히 많은 도움이 된다고 합니다. 식물을 처음 길러보는 분들에게 추천하는 스킨답서스는 실내에서 키울 때는 조그맣게 자라지만, 적절한 영.. 2023. 3. 4.
용의 혀를 닮은 다육식물, 용설란(agave) 용설란을 키울 때 주의해야할 점과 몰랐던 사실에 대해 간단하게 알아보겠습니다. 백 년에 한 번 꽃이 핀 다고 과장하여 세기의 식물로 불리기도 하며, 잎이 용의 혀같이 생겼다고 하여 용설란이라고 불리고 있습니다. 원산지는 멕시코로 열대, 아열대 각지에서 자라며 우리나라에서는 주로 관상용으로 기르고 있습니다. 스페인어로는 아가베라고 불리며, 높이 1~2m로, 다육질의 잎이 약 20~30개 정도 달린 외형을 가지고 있습니다. 10년 이상 자란 용설란은 잎의 중앙에서 굵은 꽃줄기가 올라와 원추꽃차례로 많은 꽃이 달립니다. 연한 노란색 꽃이 핀 다음, 밑에 작은 싹이 생기고 남아있던 원줄기는 죽습니다. 용설란의 대표적인 쓰임새는 용설란에서 추출한 당분으로 만든 아가베 시럽이 있고, 용설란의 수액을 발효, 증류시켜.. 2023. 3. 1.
공기정화식물 대표주자, 산세베리아(sansevieria) 오늘은 공기정화식물하면 떠오르는 첫 번째! 누구나 알만한 유명한 공기정화식물의 대표, 산세베리아에 대해 알아보려고 합니다. 산세베리아는 특유의 생김새가 마치 뱀을 닮아있다고 하여 영어로는 snake plant(뱀식물)이라고도 불리고요. 잎 모양이 날카롭게 생겼다는 이유로 mother-in-law’s tongue(시어머니의 혀)라고 불린다고 합니다. 참 신기하죠? 산세베리아는 드물게 꽃을 피우기도 하지만, 실내에서 키울 때는 좀처럼 보기 힘듭니다. 거의 한 가구마다 있을 정도로 집에서 키울 반려식물을 떠올리면 산세베리아가 가장 먼저 떠오르곤 하실 텐데, 생각보다 산세베리아의 공기정화능력은 그렇게 뛰어나지 않다고 합니다. 공기정화식물 중 1위인 식물은 아레카야자라고 하니 공기정화식물이 필요하시다면 아레카 야.. 2023. 2. 24.
사랑에 번민하는 마음, 공기정화식물 안스리움(anthurium) 독특한 모양새로 사랑받는 공기정화식물. 안스리움에 대해 소개하고자 합니다. 생김새가 굉장히 독특하죠??? 처음에는 이게 꽃인가 싶으시겠지만 보다 보면 은근히 매력 있는 안스리움! 꽃이 오래가는 식물로도 유명하여, 집들이 선물 또는 축하화환 등으로도 많이 사용됩니다. 사실 꽃처럼 보이는 부분은 꽃이 아니라 꽃을 감싸는 꽃받침인 불염포(spathes)라고 합니다. 진짜 꽃은 빨간 불염포 위로 올라온 긴 모양이 꽃이라고 합니다. 누가 봐도 불염포를 꽃으로 생각하셨을 텐데, 불염포는 한 가지 색상만 있는 것이 아닙니다! 다양한 색상이 있어 더할 나위 없이 매력적이죠. 우아한 선으로 매력을 뽐내는 안스리움은 모양새 때문만 인기 있는 것이 아닙니다! 암모니아, 휘발성 화학물질을 잘 제거해 주는 공기정화식물로 그 기.. 2023. 2. 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