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공기정화식물13

대나무같은 모습의 야자, 대나무야자(bamboo palm) 오늘은 대나무야자에 대해 이야기해 보겠습니다. 대나무야자 특징 대나무야자는 세이프리찌야자라고도 불리고 있습니다. 멕시코 지역이 원산지인 대나무야자는 공기정화식물 1위에 랭크되어 있는 아레카야자와 전반적으로 비슷한 듯 보이지만 자세히 관찰해 보면 수형이 조금 다른 모습을 볼 수 있습니다. 최대 약 2m 정도까지 자라는 모습을 보여주며 가느다란 줄기가 한데 모여 다발의 형태를 이루고 있습니다. 짙고 어두운 녹색을 띠는 잎이 줄기마다 10개에서 15개 정도 자라나는 것이 특징이고, 대나무야자에도 열매가 맺히는데 열매에는 독성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섭취하지 않는 것이 좋습니다. 나사선정 공기정화식물 3위의 능력 나사가 선정한 공기정화식물 3위에 자리 잡고 있는 대나무야자는 1위인 아레카야자와 마찬가지로 휘발성 .. 2023. 4. 27.
뛰어난 공기정화능력과 키우기쉬운 실내식물, 인도고무나무(indian rubber plant) 오늘은 인도고무나무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인도고무나무 특징 인도에서 자생하는 고무나무의 일종으로 기본적으로 고무나무는 고무 수액을 분비하는 것이 가장 큰 특징입니다. 줄기 부분이나 잎 부분을 잘라보시면 하얀 액체가 나오는 것을 볼 수 있는데 만져보시면 약간 끈적함을 가지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가지를 잘라내고 나서 잘린 가지를 다시 심더라도 뿌리를 내리고 자라날 수 있는 인도고무나무는 잎의 색이 짙은 초록색을 띠고 있으며, 물방울을 닮은 듯한 모양새를 가지고 있습니다. 최적의 환경에서는 높이가 약 2.5m까지도 자랄 수 있습니다. 인도 고무나무 독성 과거에는 고무나무에서 나오는 하얀 수액인 ‘라텍스’를 통해 고무를 만들었으나, 현재는 다른 방식을 통해 고무를 제작하고 있습니다. 그리고,.. 2023. 4. 23.
뛰어난 공기정화능력의 반려나무, 관음죽(觀音竹) 오늘은 관음죽에 대한 이야기를 해보도록 하겠습니다. 관음죽 특징 나사에서 선정한 공기정화식물 2위에 랭크되어 있는 관음죽은 중국 남부지역과 타이완 부근이 원산지로 자연적으로 재배되는 것이 아닌 인위적으로 재배된 품종만 존재하고 있습니다. 중국이 원산지이지만 일본지역을 거치면서 전파가 된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관음죽이라는 이름 또한 일본의 관음산에 있는 대나무와 비슷하다고 해서 붙은 이름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약 4cm에서 10cm정도 윤기 있는 잎들이 부채꼴 모양을 형성하며 나오며, 잎의 끝부분이 톱니바퀴모습으로 갈라지는 것이 특징입니다. 관음죽 공기정화능력 나사에서 선정한 공기정화식물인 관음죽은 그 정화능력을 인정받아 무려 2위에 랭크되어있습니다. 넓은 잎이 유해물질 중에서도 악취를 유발하는 원인이 .. 2023. 4. 19.
추운계절의 대표적인 꽃 중 하나, 시클라멘(cyclamen) 오늘은 시클라멘의 특징부터 꽃말 그리고 키우실 때 관리하는 방법에 대해 간단히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시클라멘의 생김새와 특징 시클라멘은 앵초과에 속하는 다년생 구근식물입니다. 유럽 지중해 부근이 원산지로, 마치 나비가 한데 모여있는 듯이 화려한 외형을 가지고 있는 시클라멘은 추운 계절에 볼 수 있는 대표적인 겨울꽃 중 하나입니다. 위에서 이야기한 것처럼 구근식물인 시클라멘도 다른 구근식물들 처럼 더운 여름에는 휴면에 들어가기 때문에 휴면관리를 필수적으로 해주셔야 되는 것이 가장 중요합니다. 구근류 중에서도 납작한 원형의 덩이줄기의 모습을 볼 수 있고, 구근의 중심부분에서 잎이 나오기 시작하여, 하트모양을 하고 있는 꽃잎을 보실 수 있습니다. 시클라멘의 공기정화능력? 아름다운 외형을 자랑하는 시클라멘은 .. 2023. 3. 22.
꽃꽃이면 꽃꽃이 공기정화면 공기정화, 거베라(gerbera) 안녕하세요. 오늘은 흔하게 볼 수 있는 꽃이지만, 꽃이름은 익숙하지 않은 거베라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거베라 어원과 특징 거베라는 국화의 일종이며, 국화과 게르베라 속의 총칭인 거베라의 어원은 독일의 내과의사 겸 식물학자로 활동한 트라우고트 게르버를 기리기 위해, 스웨덴의 식물학자 카를 폰 린네가 붙인 이름입니다. 남아프리카가 고향인 거베라는 온대지역 열대지역 할 것 없이 널리 자라는 여러해살이풀로, 더위와 추위에 모두 강한 성격을 보이며 꽃의 색깔이 매우 다양하게 있습니다. 야생품종은 대략 30가지 정도 되며, 개량품종은 무려 2천 가지가 넘게 있습니다. 꽃이 오랫동안 피어있는 특징을 가지고 있어 화단, 화분, 꽃꽂이 등등 여러 곳에 이용되고 있으며, 꽃의 지름은 약 6 ~ 12cm 정도로 품.. 2023. 3. 17.
재물을 불러오는 식물? 파키라(pachira) 오늘은 재물을 불러오는 식물로 알려진 파키라에 대해 알아보고자 합니다. 멕시코와 남아메리카가 원산지인 파키라는 아욱아과의 관엽식물로서 나무 중에 가장 큰 꽃을 피우는 식물입니다. 꽃잎만 약 33cm 정도 되고, 활짝 핀다면 약 64cm 정도 된다고 합니다. 파키라 이름 포름알데히드와 이산화탄소 제거 능력이 뛰어나 공기정화식물로도 인기가 많은 이 식물, 파키라라는 이름이 익숙하지 않으신 분들이 있으실 텐데, 행복나무, 머니트리(money tree), 말라바 밤(malabar chestnut)이라는 이름으로도 불려 다른 이름이 더욱 익숙하신 분들도 많이 계실 겁니다. 공기정화식물에 관심이 있으시다면, 나사 선정 공기정화식물 1위인 아레카야자를 관심있게 봐주셔도 좋습니다. 2023.03.07 - 나사에서 선정.. 2023. 3. 8.
나사에서 선정한 공기정화식물 1위, 아레카 야자(areca palm) 오늘은 나사에서 선정한 공기정화식물 1위에 오른 아레카 야자에 대해 알아보고자 합니다. 아레카야자의 공기정화능력 마다가스카가 원산지인 아레카야자는 모든 유해성 화학물질 제거에 뛰어난 모습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본드나 페인트에서 발생하는 포름알데히드와 새집증후군 원인물질 중 하나이며, 1군 발암물질에 해당하는 크실렌(자일렌) 그리고 폭약, 염료, 의약품 등에 사용되는 화학물질인 톨루엔, 자동차 배출가스나 석유화학제품 원료로 사용되는 벤젠 등등 많은 유해물질 제거에 효과적이라고 합니다. 아레카야자는 이러한 유해물질들을 기공을 통해 흡수하고, 흡수한 유해물질을 토양으로 이동시켜 토양의 미생물이 분해를 하여 제거한다고 합니다. 원활한 증산작용을 통해 공기 중으로 많은 수분을 방출하여 실내 습도 유지에도 훌륭하며.. 2023. 3. 7.
크리스마스와 찰떡궁합, 포인세티아(poinsettia) 오늘은 크리스마스에 특히 많이 볼 수 있는 화초 중 하나인 포인세티아에 대해 알아보고자 합니다. 멕시코가 원산지인 포인세티아는 아름다운 생김새로 인기가 많은 화초 중 하나인데요. 사실 외적으로 보이는, 꽃으로 알고 있는 있는 붉은 것은 꽃이 아닌 꽃잎을 보호해 주는 포엽이라고 합니다. 포엽 안 가운데에 보이는 작은 돌기 같은 것이 꽃이며, 암술과 수술 꽃잎까지 가운데 돌기 안에 들어있습니다. 크리스마스 대표장식식물이 된 이유? 포인세티아가 크리스마스에 더 자주 볼 수 있는 이유가 있습니다. 멕시코의 어느 마을에서 크리스마스이브날 아기 예수에게 드릴 선물을 준히하는데, 한 소녀만 가난한 집안형편으로 선물을 준비하지 못해 슬퍼하고 있었습니다. 소녀의 오빠가 예수님께서는 값비싼 선물보다는, 정성이 담긴 선물을.. 2023. 3. 7.
포름알데히드 제거에 특효, 아이비(ivy) 오늘은 아이비를 키우면서 주의해야할 점과 꽃말 아이비가 가지고 있는 특징에 대해 간단하게 알아보겠습니다. 원산지가 아시아, 유럽, 북아프리카인 흔히 아이비라 부르는 식물은 송악속(hedera)라고도 불리우며, 두릅나무과의 한 속입니다. 사시사철 푸름을 보여주는 아이비에도 꽃말이 존재하는데, ‘진실한 애정’, ‘행운이 가득한 사랑’이라는 의미를 담고 있습니다. 아이비키우기 및 효과 가격이 저렴한 편에 속하고 병충해에 강한 아이비는 키우기 난이도가 쉬운 편에 속합니다. 번식력이 좋아 수경재배도 가능하고 꺾곶이 번식도 잘 이루어지는 편이며, 성장속도가 빠릅니다. 아이비는 덩굴성 식물로 지지물을 만들어주면 타고 올라가게 되며, 높은 곳에 놓고 지지대를 만들어주면 인테리어적으로도 활용이 가능합니다. 아이비를 키웠.. 2023. 3.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