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식구근3 가을에 심고 봄에 피는 꽃, 추식구근의 관리방법과 대표식물5가지 식물을 좋아하고 꽃을 좋아하신다면 구근식물은 어렵지 않게 접하실 수 있습니다. 구근식물도 춘식구근과 추식구근으로 나뉘는데 오늘은 추식구근 종류와 키우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춘식구근? 추식구근? 구근식물은 춘식구근과 추식구근으로 나뉩니다. 춘식구근은 봄 춘(春) 한자를 사용하여 봄에 구근을 심어 가을에 꽃을 피우는 구근식물을 말하며, 추식구근은 가을 추(秋) 한자를 사용하여 가을에 구근을 심어 봄에 꽃을 피우는 구근식물을 말합니다. 추식구근 심는 방법 추식구근의 경우 봄의 꽃을 보기 위해 가을에 심기시작하는데 9월 말부터 11월 초 사이에 심기 시작합니다. 땅이 얼지 않았을 때 구근을 심어주셔야 하며, 어느 정도의 저온을 겪어야 꽃눈이 발화하기 때문에 봄이 되더라도 저온을 겪지 못해 꽃눈이.. 2023. 4. 25. 가을에 피면 샤프란, 봄에 피면 크로커스(crocus) 오늘은 크로커스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크로커스 특징 크로커스는 붗꽃과에 속하는 여러해살이 알뿌리 화초에 속합니다. 지중해 연안부근부터 중앙아시아 등등 여러 곳에 분포하여 재배되고 있는 원예식물로 어렵지 않게 찾아볼 수 있습니다. 튤립, 수선화, 히아신스와 같이 봄에 꽃을 피우는 대표적인 알뿌리 추식구근식물에 속합니다. 2023.03.21 - 자신을 너무 사랑해서 꽃이 되어버린 나르키소스, 수선화(narcissus) 2023.03.11 - 4대 절화 중 하나, 네덜란드 국화. 튤립(tulip) 2023.03.09 - 색마다 다른 꽃말을 가진 꽃, 히아신스(hyacinth) 향신료로 많이 사용되고 있는 샤프란도 크로커스의 일종이고, 구분을 짓는 방법으로는 봄에 피는 꽃은 크로커스라고 부르며, 가을에.. 2023. 4. 17. 아름다운 꽃과 달리 슬픈 꽃말을 가진, 아네모네(anemone) 오늘은 일반 꽃과 비슷하면서도 독특한 매력을 가지고 있는 아네모네에 대해 이야기해볼까 합니다. 아네모네 특징 바람의 꽃이라고도 불려 wildflower라는 이름을 가지고 있는 아네모네는 미나리아재비과 식물로, 주 원산지는 지중해 연안 부근입니다. 바람이라는 뜻을 가지고있는 그리스어 anemos에서 따왔으며 품종은 약 150종이 넘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봄부터 초여름 사이인 4월에서 5월 정도에 알뿌리에서 줄기가 자라나기 시작하고 줄기마다 약 6 ~ 7cm정도되는 꽃을 피우기 시작합니다. 6월이 지나면 아네모네의 잎이 황화가 일어나기 시작하고 누렇게 변하는 시점에 아네모네의 알뿌리를 캐내어 그늘에 말려보관하는 휴면처리를 해주셔야 합니다. 화색은 빨간색부터 하얀색, 하늘색, 분홍색, 자주색 등등 다양하.. 2023. 4. 4. 이전 1 다음